경기 침체 우려에 급락한 미 증시 영향에 하락
초반 코스피 -60p 이상 급락하다 낙폭은 축소
트럼프 발언 영향에 나스닥 -4% 하락
낙폭은 2022년 9월 13일 이 후 최대폭
당시 인플레 높아 강한 정책 예상되던 시기
그 직전 낙폭 기록은 2020년 3월 코로나 때였음
그만틈 이례적인 하락이 나온 것
문제가 된 것은 정책 이어갈 것이라는 트럼프 인터뷰
베센트는 '트럼프 풋' 즉, 증시 개입 없다는 발언
최근 금융 시장 불안에도 기조 유지하겠다는 의지
백악관 측은 장기로는 미국에 도움되는 정책이라고
부통령은 SNS에 미국내 생산 독려하는 메세지나 올린
미국내 생산은 대우하지만 그 외 생산은 알아서 하라고
오후들어 미국 선물 오르고 아시아 증시도 낙폭 축소
내일 트럼프가 월가 인사들 만남을 갖는다고
트럼프는 머스크 신뢰 표시로 테슬라 한 대 구매하겠다고
증시나 종목들 약세를 의식하고 있다는 점 보여준 측면
단기 낙폭이 커 기술적 반등 예상된다는 점도
엔비디아의 경우 챗GPT 등장 시점 대비 선행PER 절반 수준
코스닥도 개장 직 후 ADR이 76까지 빠져 과매도 부근 진입
외국인 코스피 매도. 코스닥은 매수
제약, 건설, 통신 외 대부분 매도
선물은 다시 대규모 순매도
기관은 금속, 유통 외 대부분 매도
트럼프의 정책 여파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
오늘 미국 낙폭은 2022년 9월 13일 이 후 최대
당시 미국 CPI 쇼크에 증시 급락했을 때
그 직전 최대 낙폭은 2020년 3월 코로나 때
즉. 증시 반응은 2~3년에 한 번 나올 위기로 본 것
실제 경제 상황 감안하면 과도한 낙폭
트럼프도 월가 인사들과 미팅한다는 보도
단기적으로는 일정 부담이 이어짐
CPI, 만기일, 헌법 재판소 결과 등
증시가 바로 추세 돌리기는 어려운 측면
다만 재료 대비 과도한 하락이라는 점도
코스닥의 경우 점차 과매도권 진입하는 시점
조정 때 매도 진정, 매수 누적되는 종목들 추려둬야
'▶ 인사이트 > 시장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전기차 큰 폭 상승, 테슬라 상승 (2) | 2025.03.12 |
---|---|
미 증시, 트럼프로 하락하다 우크라이나 휴전, 무역분쟁 완화 기대로 낙폭 일부 축소 (0) | 2025.03.12 |
03월 11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1) | 2025.03.11 |
테슬라, 2020년 이후 최악의 하루 (0) | 2025.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