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인사이트/시장 경제

외부는 관세, 국내는 정치 변수 변동성

by 에디초이 2025. 3. 10.
728x90
반응형

주말 미 증시는 파월 발언, 브로드컴 강세에 반등
주목 받은 고용 지표는 일단 무난했다는 평가
2월 비농업일자리 15.1만. 예상 16~17만 하회
실업률 4.1%로 예상 4.0% 상회
TD증권. 우려했던 경기 둔화 징후는 아니었다고

관세 노이즈 있었으나 파월의 경기 언급에 상쇄
캐나다산 목재와 낙폭 제품 250% 상호 관세 부과 예고
관세 우려 재부각되며 장중 지수 하락하기도
파월. 미국 경제 좋은 위치에 있다는 발언에 안도감
고용 견조하고 인플레 목표 향해 가고 있다고 언급
트럼프 정책은 무역, 이민, 재정, 규제 등은 변수
불확실성 높은 단계로 경제 미치는 영향 관찰 중

브로드컴 호실적에 반도체 업종 지수 3% 이상 상승
트럼프는 미국 반도체 사업 대부분 대만에 뺏겼다고
한국에 대해서는 '약간'이라고만 언급. 이 후 영향 주목
트럼프의 러시아 제재 압박에 유가 오르며 에너지 반등

지난주 글로벌 증시는 차별적인 움직임 보임
미국 증시 부진. 독일과 중국 증시 상승
우리는 코스피 상승, 코스닥은 하락
미국 대비 다른 나라들 상대적으로 선전하는 편
최근 글로벌 증시 자금 추이도 유럽, 아시아는 유입
아직까지 관세에 자금 흐름에 큰 이탈 조짐은 없음
다만 경기 침체 우려 본격화될 경우에는 부담 커질수도
경기 둔화가 메인 이슈 되는지는 주의

이번주는 주중 정치 뉴스에 따른 변동성 나타날 전망
이런 가운데 증시 수급에 변화가 생기는지 관찰 
외국인 지난주까지 11 거래일 연속 선물 매도
작년 1월 이 후 처음 나온 현상
당시와 비슷한 반등 구도가 되는지, 2차 하락 나오는지
외국인 주초반 선물 움직임 주목

코스닥은 대형주에 의한 변동성 양상 주목
지난주 후반 알테오젠 등 대형주 등락 커지며 지수에 영향
알테오젠이 회복하거나 상쇄할 대안주 등장하는지
업종별 변화 여부 집중 관찰
단기로는 국내 정치 이슈 등 지수 자극 요인 많은 편
지수, 종목들 흐름에 변화가 많이 나타날 시기
실적, 수급 고려해 차별적인 접근 필요한 시점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