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를 한달간 유예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미국의 무역적자가 크게 증가하고 주가가 하락하는 등 미국 내 소비자와 기업 반발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는 6일 멕시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과 통화 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에 해당하는 어떠한 품목에도 멕시코가 관세를 지불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데 동의했다”며 “이 협정은 4월 2일까지 유효하다”고 했다.
트럼프는 “나는 이를 셰인바움 대통령에 대한 배려와 존중의 표시로서 시행했다”며 “우리의 관계는 매우 좋은 상태이며, 우리는 국경 문제와 관련해 함께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는 불법 이민자들이 미국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 것뿐만 아니라 펜타닐 유입을 차단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며 “셰인바움 대통령의 노고와 협력에 감사드린다”고 했다.
트럼프가 멕시코에 대한 관셰를 유예한 것은 이번이 3번째다. 애초 지난달 4일 트럼프는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가 하루 전날 “한달간 유예하겠다”고 발표했다.
트럼프가 멕시코에 대한 관셰를 유예한 것은 이번이 3번째다. 애초 지난달 4일 트럼프는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가 하루 전날 “한달간 유예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한달 뒤인 지난 4일 실제로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시행했지만 다시 하루 뒤인 5일 멕시코·캐나다에서 들어오는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를 한달간 유예했다. 포드, 제너럴 모터스, 스텔란티스 등 멕시코에서 공장을 운영하는 미국산 자동차 업체들이 최대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 뒤였다. 그리고 트럼프는 이날 멕시코산 제품 대부분에 대한 관세를 다시 4월 2일까지 유예한다고 발표한 것이다.
CNN은 “관세를 둘러싼 오락가락한 트럼프의 대응이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며 “트럼프는 일관되게 관세를 위협하고 잠시 시행한 뒤 유예를 발표해 왔는데, 이로 인해 미국 기업들은 투자와 고용 여부를 결정하는 데 혼란을 겪고 있다”고 했다.
'▶ 인사이트 > 시장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3/7 주요신문 헤드라인 (2) | 2025.03.07 |
---|---|
개인 투자자들이 향후 6개월간 주식 전망에 대해 압도적으로 비관적인 태도를 유지 (0) | 2025.03.07 |
트럼프의 관세: 경제와 지갑에 미치는 영향 (1) | 2025.03.06 |
3/6 경제 캘린더 (0) | 2025.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