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인사이트/시장 경제

트럼프 2.0 주요 섹터별 영향도2월 10일 시황. 관세, 중국, 종목 장세

by 에디초이 2025. 2. 10.
728x90
반응형

주말 미 증시는 아마존, 관세. 인플레 우려에 하락
고용 지표는 무난하게 나왔음
1월 비농업일자리 14.3만. 예상 17만 하회
실업률 4.0%로 예상 4.1% 보다 낮게 발표
1월 지표는 인구 추정치 변화를 반영한 수치
일반적으로 예상치와 큰 편차를 보이는 경향

아마존 실적도 큰 영향은 준 편은 아님
개장 전 이미 하락했으나 증시는 상승 출발

소비자 기대인플레와 트럼프 관세 발언이 약세 요인
2월 1년 기대인플레는 4.3%으로 전달 보다 1%p 상승
3개월만에 1.7% 올라 2002년 이 후 최대폭 상승
특이한 점은 지지 정당별 의견이 크게 갈린다는 점
공화당 지지자들은 기대 인플레가 '0%'
반면 민주당 지지자들은 5% 이상. 중도 3.7%도 상승
당분간 이런 수치는 이어지다 이 후 안정될 듯
베센트 발언대로 금리, 유가 잡을 경우 진정 예상

문제는 트럼프의 관세 예고 발언
10~11일 중 다수의 국가에 상호 관세 발표 예고
특히 미국에 무역수지 흑자 큰 나라들 대상될 듯
이 경우 8위인 우리도 영향 받을 가능성
또 주초 미국과 중국간 관세 부과 날짜도 시작
관세 이슈가 주초 증시에 부담이 될 전망

최근 증시는 비슷한 패턴이 반복되는 중
금요일 미 증시 하락, 주초 우리 증시 약세 출발
주중 해당되는 재료 완화되며 만회하는 형태
당장은 이 흐름 벗어날 호재성 재료는 없음
결국 증시 수급과 일부 대형주 흐름으로 가늠해야

아직까지는 작년 대비 올해 증시 흐름이 달라진 편
코스닥은 주요국 지수 상승률 선두권. 
코스피도 글로벌 증시 수준과 비슷하게 가는 중
제한적인 종목 장세가 이어지고 있음
예탁금 추이는 저점 대비 늘었으나 의미있는 수준 아님
종목 장세 주도권 외국인, 기관에게 있는 것
지난주 강세 종목군은 유리기판, 재건, 로봇, 일부 제약
이번주 업종별 변화가 생길 가능성도
기관 매수 누적되어가는 종목군
실적 수정 없이 주가 눌린 종목군 꾸준하게  관심

728x90
반응형

댓글